반응형
파킨슨의 법칙은 일의 양과 공무원 수의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.
는 법칙으로 일의 분량(증가)에 관계없이 공무원 수는 증가하기 마련임을
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(통계적 증명을 생략하고 )
1914년부터 1928년까지 해군장병과 군함의 수는 줄어든 반면 같은 기간
동안 해군 부대에 근무하는 공무원의 수는 기존 인원의 80% 가까이 증가했다.
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영국의 식민지들이 스스로 자치정부를 수립하면서
영국 식민성이 관리해야 할 지역은 계속 줄어들었다. 그러나 행정 직원의 수는
평균 5.89%씩 증가하여 1935년에 372명이었던 직원이 1954년에는
1,661명으로 늘어났다.
파킨슨의 법칙은 업무(조직)의 비효율성을 비판하는 메시지로
이러한 비효율성을 극복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사업부에 적용해봤습니다.
비효율성의 극복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으로 비부과 업무의 제거라
생각되며 현재 계획된 사업목표와 관련성이 없거나 중요도가 떨어지는 것에
대해서는 우선순위에서 배제하거나 후순위로 미뤄야겠다고 생각합니다.
즉, 해야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의 분명하고 명확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또한, 업무의 비효율성 극복을 위해 일별, 주간별, 월별 업무의
분명한 마감 시한을 설정하여 관리하고
프로젝트성 업무 등 개별 업무의 배정시간을 예상 시간보다 단축하여
끝내는 것을 적용해 봐야 합니다.

반응형
댓글